
롱블랙 프렌즈 C
행복에 관한 한 문장이 요즘 SNS에 자주 보여요.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이 말에는 원출처가 있어요. 행복학자로 유명한 서은국 연세대 교수의 유학 시절, 그의 지도 교수가 쓴 논문의 한 구절이에요. 서 교수가 10년 전 출간한 책 『행복의 기원』에서 소개했어요.
서은국 교수는 ‘세계 100대 행복학자’로 꼽히는 행복학의 대가예요. 그가 쓴 논문 인용 횟수만 9만 회. UN과 OECD가 매해 ‘행복 지수’를 측정하도록 하는 제안서가 채택되는 현장에도 그가 있었죠.
얼마 전 『행복의 기원』이 10주년 기념 개정판으로 나왔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롱블랙 <사유로, 떠나다> 시리즈의 마지막 주인공으로 그를 만나기로 했죠. 평소 서 교수의 행복론에 영감을 받아온 정시우 작가가, 그에게 만남을 청했어요.

정시우 작가
행복해지려고 열심히 돈을 모으고, 꿈꾸던 명함도 얻었는데 왜 마음 한구석은 허전할까.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렸다기에 명상도 해 봤는데, 왜 행복은 여전히 멀리 있는 것 같을까. 그러던 중 행복에 대한 기존 통념에 반기를 드는 심리학자를 만났습니다. 심리학 베스트셀러 『행복의 기원』에서 심리학자 서은국 교수는 말했죠.
“행복은 삶의 목적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수단일 뿐이다.”
행복을 향한 강박이 역설적으로 행복을 망치는 시대에, ‘유레카’를 만난 기분이 들었죠. 진화론적 관점에서 풀어쓴 행복의 ‘진짜 얼굴’이 충격적이었습니다.
저는 그의 책을 읽고, 방바닥에 앉아 마음을 다스리던 자기최면을 접고, 기쁨을 주는 환경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기 시작했어요.